-
조사 목적
-
경제자유구역 관내 입주업체 현황을 분석하여, 업종별 입주실태 파악 및 경제자유구역이 지향하는 핵심사업 유치 성과를 측정하고 외국인 투가지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여 정책수립, 평가, 홍보에 기초자료로 활용.
-
경제자유구역의 투자 유치, 고용인력 창충, 매출 등의 성과를 측정 비교하고 평가하여 이를 행정적 · 재정적 지원 및 정책수립 등에 활용.
-
-
법적 근거
-
『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』 (제28조의4)
제28조의4(경제자유구역별 통계의 작성)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및 투자유치 정책에 필요한 정보의 신속한 수집 · 분석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, 시 · 도지사 또는 경제자유구역청의 장과 공동으로 경제자유구역에 관한 통계를 작성 · 관리할 수 있다.
-
『통계법 제18조』국가승인통계 (승인번호 제 115035)
-
-
조사 연혁
-
2015
시험조사
-
2016
-
2017
9개 경제자유구역청 개별 주관
(국가승인통계) -
2018
9개 경제자유구역 개별 전수조사
-
2019
-
2020
-
2021
-
2022
산업통상자원부 주관
-
2023
경제자유구역 통합 전수조사
-
2024
10차 조사
-
-
조사 기준 시점
-
경제자유구역 입주사업체 중 조사기준일('23. 12. 31.) 기준 고용규모 5인 이상 사업체
-
경제자유구역 내 1인 이상 외국인투자기업 등록사업체
-
-
조사 대상
-
2023. 12. 31. 기준
-
-
조사 방법
-
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원칙 (응답자 선호에 따라, 온라인 조사 등 병행)
-
-
조사 항목 구성
구분 조사항목 난외사항
(15개)- 행정구역 분류부호
- 조사구 일련번호
- 지구명
- 지구번호
- 사업체 번호
- 사업체 고유번호
- 변동부호
- 사업체명
- 대표자 명
- 최초 설립연월
- 사업자 등록번호
- 법인 등록번호
- 현재 종사자 수
- 건의사항
- 응답자 현황
일반항목
(31개)- 대표자 성별
- 입주연월
- 조직형태
- 자본금 규모 및 변동
- 주 사업 현황
- 현 사업장의 특성
- 지위별 종사자 수
- 향후 채용 종사자 수
- 매출 규모
- 판매 경로별 매출액
- 판매 유형별 매출액
- 수출금액 기준 수출국가
- 수출 유형별 비중
- 타시도 판매처 업종(지역)
- 매입규모
- 조달경로별 매입액
- 수입금액 기준 수입국가
- 타시도 조달 품목(지역)
- 지식재산권 보유현황
- 투자규모
- 투자 목적
- 투자 애로사항
- 향후 투자계획 시기
- 입주형태
- 경제자유구역 인지 경로
- 사업활동 만족도
- 지원 사업 수혜 현황
- 사업활동 애로사항
업종별 특성 항목
(20개)외부업체
(6개)- 투자자
- 투자국가
- 투자방식
- 외국인 자본율
- 외국인투자기업 특례 현황
- 외국인 투자규모
생산업체
(5개)- 최초 생산 가동연월
- 생산규모
- 분기별 가동률
- 생산현황
- 생산유형
연구업체
(4개)- 조직형태
- 기술인력
- 재원조달
- 연구개발 협력방식 비중
물류업체
(5개)- 사업형태
- 물동량(수출, 수입, 육상 등)
- 물동량 기준 수출국가
- 물동량 기준 수입국가
- 내륙물류 지역